티스토리 뷰
✔️ git status - 리포지토리 정보 확인
git status
✔️ git init - 리포지토리 생성(초기화)
- 해당 프로젝트(디렉토리)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줌!
- 프로젝트 당 한번만 실행
git init
❕ git init을 하기 전에 git status로 해당 프로젝트에 깃이 이미 있는지 확인!
✔️ git add
- 다음 커밋에 포함할 변경사항들을 선택
- 커밋하기 위한 변경사항을 스테이지에 올리는 것(스테이징, staging)
git add file1 file2
git add .
: add . 을 하면 한번에 모든 변경사항들을 스테이징
✔️ git commit
git commit -m "my message"
git commit -a -m "my message"
: -m옵션으로 메시지와 함께 커밋가능! (m은 message를 의미)
: -a옵션은 add를 커밋과 같이 하는 것을 의미
✔️git log
- 저장소에 대한 커밋 정보 검색
git log
❗Git 폴더(.git)
: 리포지토리의 모든 정보를 갖고 있는 폴더
: 삭제하면 git 리포지토리에 대한 정보가 사라짐! (git이 숨김 폴더인 이유)
: (참고) 숨겨진 폴더나 파일들은 점(.)으로 시작함 (ex. .git) ls -a로 확인 가능!
❗커밋?
: 깃 저장소(프로젝트)에 있는 체크포인트 중 하나(ex. 상단바 추가, 하단탭 완료, 네이비게이션 바 수정...)
: 저장소에 있는 변경사항들의 스냅샷
: 커밋을 하면 Git폴더(git 저장소)를 업데이트!
: 커밋을 할 때, 변경사항을 요약하거나 묘사하는 메시지를 포함!
📌 깃(Git) 공식 문서
Git - Reference
Reference
git-scm.com
✔️ 마지막 commit 메시지 수정
git commit --amend -m "바꿀 메시지"
'버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Diff로 변경사항 비교하기 (0) | 2023.07.08 |
---|---|
[Git] 브랜치 병합하기 (0) | 2023.06.24 |
[Git] 브랜치(branch)로 작업하기 (0) | 2023.06.23 |
[Git] 커밋과 관련 주제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6.21 |
[Git] 설치 및 설정 (0)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