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19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0️⃣
문제
어느 학교에 페인트가 칠해진 길이가 n미터인 벽이 있습니다. 벽에 동아리 · 학회 홍보나 회사 채용 공고 포스터 등을 게시하기 위해 테이프로 붙였다가 철거할 때 떼는 일이 많고 그 과정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곤 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벽이 보기 흉해져 학교는 벽에 페인트를 덧칠하기로 했습니다.
넓은 벽 전체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대신, 구역을 나누어 일부만 페인트를 새로 칠 함으로써 예산을 아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 n개로 나누고, 각 구역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을 정했습니다.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 m미터이고, 롤러로 벽에 페인트를 한 번 칠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롤러가 벽에서 벗어나면 안 됩니다.
- 구역의 일부분만 포함되도록 칠하면 안 됩니다.
즉, 롤러의 좌우측 끝을 구역의 경계선 혹은 벽의 좌우측 끝부분에 맞춘 후 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벽을 칠합니다. 현재 페인트를 칠하는 구역들을 완전히 칠한 후 벽에서 롤러를 떼며, 이를 벽을 한 번 칠했다고 정의합니다.
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고 다시 칠해야 할 구역이 아닌 곳에 페인트를 칠해도 되지만 다시 칠하기로 정한 구역은 적어도 한 번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예산을 아끼기 위해 다시 칠할 구역을 정했듯 마찬가지로 롤러로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정수 n, m과 다시 페인트를 칠하기로 정한 구역들의 번호가 담긴 정수 배열 sec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러로 페인트칠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입력
- 1 ≤ m ≤ n ≤ 100,000
- 1 ≤ section의 길이 ≤ n
- 1 ≤ section의 원소 ≤ n
- section의 원소는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하는 구역의 번호입니다.
- section에서 같은 원소가 두 번 이상 나타나지 않습니다.
- section의 원소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1️⃣ 어떻게 문제를 풀까?
페인트를 최대한 아끼고 싶으면, (1) 0번 구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색칠해야 하는 섹션을 찾아서 (2)그 구역을 롤러의 끝에 두고 다음 색칠해야 하는 섹션 방향으로(오른쪽으로) 색칠, (3) 색칠 안한 부분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색칠해야되는 섹션을 찾아서 반복 (더이상 색칠할 구역이 없거나 롤러가 벽을 벗어날때까지)
📌 이슈
- (1)을 구현하기 위해 section을 오름차순 정렬해야 되지만 입력값 예시를 봤을 때, 이미 오름차순으로 입력값을 입력해주는 것 같아서 생략!
import java.util.Arrays;
Arrays.sort(section); // 오름차순
Arrays.sort(section, Collections.reverseOrder()); // 내림차순
↑ 만약 해야 된다면 이렇게!
- (2) 색칠이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배열(int[] check)을 만들자!
- (3) 만약 롤러가 벽을 벗어난다면? → 그때는 가장 오른쪽 섹션을 롤러 끝에 두고 색칠해야되는 섹션 쪽으로 페인트칠을 했다고 생각! (이 단계가 되면 그냥 더이상 색칠할게 없으므로 return!)❗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기때문에 가능!!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m, int[] section) {
int answer = 0;
int[] check = new int[n+1]; // 구역이 1부터 시작하니까
for(int s: section) {
if(check[s] == 1) continue; // 이미 칠해져 있으면 다음꺼 확인!
answer++;
for(int i = s; i < s + m; ++i) {
if(i > n) return answer; // 이번에 칠하는 걸로 끝까지 남은 구역을 다 칠하니까 더 확인할 필요X
check[i] = 1;
}
}
return answer;
}
}
- 만약 if(i > n)에 걸려서 return을 하게 되면 check 배열에 색칠했는 모든 구역을 표시하진 못하지만, 우리가 필요한건 '페인트를 최소 몇번 해야되는가?'니까!
🛠️ 리팩토링
: 생각해보니까 굳이 check[] 배열에 일일이 1을 해줄 필요가 없다! 어디까지 색칠을 완료했는지만 저장하면 됨!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m, int[] section) {
int answer = 0;
int colored = 0;
for(int s: section) {
if(s <= colored) continue;
answer++;
colored = s + m - 1;
if(colored >= n) break;
}
return answer;
}
}
2️⃣ 배운점
최솟값,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최적화 문제)를 보면 첫번째로 그리디로 풀 수 있는가?를 생각하라고 홍연오빠가 말해줬던 것 같은데, 다행히 어렵지 않게 그리디로 풀 수 있는 문제였다! 근데 이게 그리디로 푼게 맞는지 조금 헷갈린다.. 시간되면 그리디 개념을 좀 정리해 놔야겠다!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바탕화면 정리 (0) | 2023.06.01 |
---|---|
[프로그래머스] 대충 만든 자판 (0) | 2023.06.01 |
[프로그래머스] 추억 점수 (0) | 2023.05.28 |
[프로그래머스] 달리기 경주 (0) | 2023.05.28 |
[BOJ 14226] 이모티콘 (0) | 2022.02.01 |